일본,국제/기타나라

인도 섬유기계 수입규모 연간 20~30% 증가

박영복(지호) 2006. 3. 21. 05:50

인도 섬유기계 수입규모 연간 20~30% 지속적 증가

독일, 중국 섬유쿼터 폐지를 이용한 대 인도시장 적극적인 마케팅 전개

 

 

□  인도 섬유기계 수입규모 연간 20~30% 증가 추세

 

 ㅇ 인도 섬유기계시장 규모는 2005년 현재 약 US$16억으로 국내수요의 70%를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으며 매년 20-30%이상 수입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ㅇ 특히 섬유쿼터 폐지를 이용한 독일, 중국 섬유기계 업계, 대 인도섬유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독일산 섬유기계 대인도 수출규모는 2004년도 US$1억6000만으로 전년대비 30% 증가, 2005년도 US$2억으로 25% 증가, 2006년도는 US$2억5000만정도 수출 예상됨.

     - 중국의 경우 이제 시작에 불과하지만, 중국 주정부 섬유기계기업(CTMTC)은 섬유벨트인 꼬임바트르 지역에 섬유기계류 전시장 겸 오피스를 설치하고 현재 15개 공장으로부터 US$ 1000만 이상의 주문을 받은 상태임.

  

□  수입 증가요인

 

 ㅇ 국내업체로부터 구입은  M/C 주문후 딜리버리기간이 약 2~3년이나 소요되는 반면, 수입산 경우 주문후 4-6개월 이내에 생산가동이 가능하여 수입증가의 구체적 요인이 됨.

 

 ㅇ 2000년도 이래 정부의 설비투자 규제완화로 공장확장 및 외국기업투자 증가

     - 정부 기술증진기금계획(TUFC:Technology Upgradation Fund Scheme) 아래 섬유    자본재 투자허용

     - 섬유쿼터폐지에 따른 외국기업 수출의류용 분야에 투자 확대  

 

 ㅇ 최근 합성섬유 및 연사등에 대한 물품세 및 수입세 인하

     - 물픔세 16%에서 8%로, 수입세 15~10%로 인하


□   전망


 ㅇ 정부 섬유산업분야의 수출마인드 정책에 따른 TUFC아래 지원방안이 지속적으로 개선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존공장의 신규대체 수요뿐만아니라 신규공장 건설도 크게 증가 할 것으로 보여짐.

 

 ㅇ 특히 의류제조분야에 FDI(외국직접투자)도 크게 증가 추세에 있어 섬유기계류 수입의 꾸준한 신장세가 예상됨.

 

 ㅇ 그리고, 현지 섬유기계 산업분야의 영세성 및 낮은 기술성에 따라 외국으로부터 섬유기계류 수입에 대한 관심은 계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세계기업과의 생산제품에 대한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기술 수입기계류가 필수적인 만큼 섬유 기계류산업의 수요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