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관음을 차중의 ‘보배’라 하고, 중국의 차왕이라고도 한다. 철관음은 감미롭고 그윽하며 향기가 오래간다. 마신 후에는 치근 사이에 여전히 향이 남아있다. 또 달고 윤기가 있으며 침이 생기고 뒷맛이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광동사람들의 철관음에 대한 애호는 다른 차 종류를 일찌감치 따돌린다.
하지만 유감인 것은 철관음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안계는 철관음을 생산하는 지방이지만 여전히 쟁쟁한 상표하나 없다. 철관음에 대한 지식은 개개인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다. 아래에서는 철관음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몇 개 항목으로 나눠 지적한다.
1.철관음은 송암촌 위음이 만든 것이다
철관음이라는 명칭은 언제, 어디서, 누가 붙인 것인가? 이전에 사람들은 ‘철관음’이라는 이름은 송암촌의 위음이 명명한 것이라 생각했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것이다.
위음이 철관음을 발견하고 재배했을 때, 이름은 위음종(魏荫种)이었다. 차 연구 전문가들에 따르면 안계 서평 송암촌에서 생산되는 위음 철관음이 전통 철관음이라고 한다. 송암촌 일대는 철관음의 최초 산지이다.
복건성 전문가들에 따르면『안계현지』에 일찍이 안계 철관음차는 송암촌에서 기원한다고 쓰여있다. 또 복건성 농업관계자들은 50년대 조사를 통해서 철관음이 위음종임을 확인했다. 중국해방 전후의 교과서에도 안계철관음은 안계 서평 송암촌에서 위음이 발견한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요양 사람인 왕사랑이 조정의 부름을 받고 서울로 올라가서, 예부 시랑 방망계를 만났는데, 위음종을 그에게 선물로 주었다. 방망계는 이것을 건룡 황제에게 진상했다. 건룡황제는 이 차를 마시고는 맛과 향과 색이 너무 좋다고 느꼈다. 이 차가 철과 같이 무겁고 관음보살 처럼 아름답기 때문에 철관음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철관음의 이름에 대해 안계 서평전 송암촌과 요양촌 사람들은 치열하게 입 시름을 한다. 그렇다면 사실은?
이름에 관해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위론으로, 위음이 꿈에 관음보살은 만나서 철관음차를 발견하고 철관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왕설로, 왕사랑이 이 차를 발견하고 황제에게 진상하자 황제가 철관음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는 것이다. 두 가지 설에 대한 쟁론은 그치지 않는다.
『안계현지』에 수록된 내용, 안계사람들에게 유전된 내용, 전문가들의 고증을 근거로 볼 때, 송암촌에 살았던 위음이 발견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것을 왕사랑이 진상하여 건룡황제가 이름을 하사하였다는 것도 역시 역사적 사실이다.
이렇게 볼 때, 위음이 철관음 차를 발견하고 건룡황제가 철관음의 명칭을 하사하였다는 결론이 나온다. 위음이 없었다면 이처럼 좋은 품질의 차를 얻을 수 없었을 것이고, 왕사랑이 없었다면 임금이 하사한 철관음이라는 이름을 얻을 수 없었을 것이다.
2.철관음은 향이 진하면 진할수록 좋다.
철관음을 구입할 때, 종종 판매원들이 향으로 소비자를 유혹한다. 소비자들은 향이 좋으면 좋은 철관음이라 인식한다. 철관음을 선택할 때 확실히 향을 중시해야 한다. 하지만 향이 진하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향기가 좋은 철관음은 해발이 높은 산에서 자란다. 그곳에는 운무가 많고 일조량이 많으며 자외선이 강하다. 그래서 차 잎은 방향물질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게 된다. 또 차 잎이 두터워지고 부드러워진다. 이런 지방에서 생산되는 철관음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차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가격도 비싼 편이다.
향기는 생장조건외에도 품종과 관련된다. 현재 유행하는 품종은 ‘안계철관음’이다. 하지만 안계철관음이라 해서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안계철관음은 기본적으로 정종철관음(正枞)·정종철관음(正宗)·철관음 등 3가지로 나눈다. 이 세 가지 철관음은 차의 향과 가격면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정종(正枞) 철관음은 안계의 원래 품종인 ‘홍야왜미도’를 원료로 한다. 향형에는 황계향·지란향 등이 있고, 가격은 500g에 1000원(인민비) 이상 나간다.
정종(正宗) 철관음은 안계 차 생산지역에서 생산되고 ‘홍야왜미도’의 변형이다. 홍심·홍영 등의 품종을 원료로 한다. 향형은 유화향·밀란향·청방향·숙음향 등이 있고, 가격은 500g에 100원 이상이다.
철관음은 철관음차의 특수한 제조법으로 만들어진다. 원료는 반드시 순정한 것은 아니다. 신선한 잎도 안계 생산지역내의 철관음 차종, 예를 들어 백양·백심·박엽·죽엽 등에서 나온 것만을 쓰는 것은 아니다. 향형에는 화과향·천리향 등이 있다. 차 가격은 500g에 30원 이상이다.
개괄해서 말하자면 철관음 품종의 차나무를 원료로 삼고, 철관음의 독특한 정제법으로 만들어진 철관음은 짙고 그윽한 난꽃 향을 풍기고 감로 맛을 지닌다. 이것을 속칭 ‘관음운’이라 한다. 특유의 꽃 향이나 과일 향은 결코 말리화나 옥란의 신선한 꽃을 음제해서 만든 것이 아니다. 철관음의 품종·기후·계절·독특한 기술에 의해서 천연 향이 나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