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국제/기타나라

캄보디아의 모터사이클 완제품 및 부품 시장, 중고품이 지배

박영복(지호) 2006. 8. 31. 11:02

캄보디아의 모터사이클 완제품 및 부품 시장, 중고품이 지배

 

 

캄보디아는 1인당 국민소득이 300달러 정도에 불과한 세계 최빈국으로서 전체인구 1340만명 중 36%가 유엔이 정한 최저생계선 (1 1달러 이하 생활)을 밑돌고 있을 정도로 경제사정이 여의치 않아 대부분 사람들의 교통수단이 모터사이클이다. 특히, 일부 장거리 노선을 제외하고 이렇다 할 대중교통 수단이 없으며, 일반인들은 모터 사이클 택시를 대중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캄보디아에는 모터 사이클 부품 및 액세서리 생산이 거의 전무하며, 국내수요 대부분을 태국, 일본, 한국 등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일부 부품은 대만 및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부품은 중고 부품을 포함해 일본 및 한국이 주요 공급국이다.


캄보디아에는 현재 2개의 모터 사이클 조립공장이 있는데, 태국 스즈키가 투자한 캄보디아 스즈키가 관련 부품을 태국공장으로부터 수입해 조립하고 있으며, 중국이 투자한 MCT는 중국으로부터 부품을 수입해 조립생산하고 있다. 현지조립 모터 사이클 중 MCT의 가격은 스즈키에 비해 1/3 정도가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품질차이로 인해 스즈키 모델의 시장점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태국, 중국, 대만 등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는 신품 모터 사이클 부품 중 70% 정도만을 국내시장에서 소비하고, 나머지 30% 정도는 베트남으로 재수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현지시장에서 호평을 받고있는 한국산 모터사이클은 "Daelim Citi New 100cc Citi Plus 100cc" 등 이다.

2004년 기준으로 모터 사이클 수입규모는 46백만불 정도로서 신품 모터사이클 수입대상국은 태국, 중국, 말레이시아 등이며, 중고 모터사이클은 일본, 한국, 대만 등으로부터 주로 수입되고 있다.

한편, 모터사이클 부품 수입규모는 2004년 기준 158.8천불 정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무려 35%에 달하는 과도한 세금부담 때문에 태국으로부터 밀수 혹은 여타의 관세율이 낮은 품목과 모터 사이클 부품을 혼적해 수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의 모터사이클 시장은 일본산 브랜드가 가격이 여타제품과 비교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구매를 선호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일본산 브랜드는 혼다, 스즈키, 야마하 등이다.  

현지 모터사이클 시장은 전체시장의 80%를 중고제품이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20%를 신품 모터사이클이 점유하고 있으나, 최근에 들어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향상과 현지 조립 생산품의 본격적인 출하로 신품의 시장점유율이 계속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모터사이클 부품시장은 일본이 51%, 태국 17%, 그리고 나머지 32%를 한국,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산 모터사이클은 대부분이 중고제품으로서 농촌지역 거주자와 도시의 모터택시 운전자들이 주요 소비계층이다.

수입상들에 의하면, 한국산 모터사이클 부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관계로 한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는 부품은 대부분이 중고품이 이라고 밝히고 있으며, 현지 수입상들은 수입 시 여러 부품을 혼적해 1컨테이너에 채워 수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수입상들은 공통적으로 한국산 모터사이클 부품의 품질에 대해서는 상당히 양호한 평가를 하고 있으나, 가격경쟁력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을 표명하고 있다. 특히, 한국산이 태국으로부터 밀수로 수입된 제품이나 저렴한 중국산과 가격경쟁이 가능할 지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면서 한국산이 어느 정도 가격경쟁력만 뒷받침 된다면 시장진출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의견이다.

참고로, 모터사이클 부품[HS. Code: 8714.11~19] 수입 시에는 15%의 수입관세와 특별세 10%, 그리고 부가가치세 10%가 부과되며, 이외에 수입을 제한하는 특별한 규정은 없다.

 

 

자료원 : 모터사이클 완제품 및 부품 수입상 직접방문 조사
문의처
: 프놈펜 무역관 왕 동원 (ktcpnh@online.co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