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여행정보
1. 기후, 옷차림
중국은 워낙 지역이 넓어서 기후도 지역에 따라 갖가지이다. 따라서 일정한 지역의 기후에 맞게 소지품을 준비해 가야 한다. 우리 나라 사람이 많이 가는 동북지방은 여름이라도 밤에는 서늘하고 백두산의 경우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있으므로 점퍼나 스웨터 등을 준비해 간다. 그리고 백두산 정상은 항상 구름이 왔다 갔다 하는 곳으로 지상에서 맑은 날씨라 하더라도 위에서는 비가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벼운 비옷을 준비해 가면 도움이 된다. 또한 동북지역은 겨울이 되면 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지고 눈이 쌓일 때도 많으므로 겨울에 여행을 하려고 생각한다면 방한준비를 철저히 해가야 낭패를 보는 일이 없다 하지만 동북지방이 한겨울이어도 남부의 해안 지역과 하이난 등지는 꽤 온난한 편이다.
2. 시차
우리 나라와 중국과는 1시간의 시차. 중국이 우리 나라보다 1시간이 늦어 우리가 오전 9시면 중국은 8시이다. 중국은 우리의 44배에 해당하는 국토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시각체제이다. 가장 서쪽에 있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제외하고는 전역이 베이징 표준 시각을 따른다. 예를 들면 베이징과 약 2시간 정도 차이가 있는 실크로드 지방에서도 베이징의 표준 시각을 적용시키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시간 차이가 많이 나는 지방에서는 공공업무에 적용시키는 시간과 실제 생활에 적용시키는 시간이 다른 이중시간을 쓰고 있다. 중국의 연변지방은 우리 나라와 같은 자오선상에 있어서 실제시각에 차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와는 1시간의 시차가 나는 셈. 이러한 지역적 차이 때문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 내에서는 유일하게 자치구 내에서는 독자적인 시각 체제를 따르고 있다. 베이징 시각으로 아침 8시면 이곳에서는 여전히 어두운 새벽이다 .
3. 목적지까지 걸리는 시간 : 1~ 4시간정도 지역에 따라 틀리다.
4. 팁 : 일반적으로 팁이 생활화되지 않았다.
5. 환율 및 화폐단위, 환전
중국에서 현재 통용되는 화폐는 100元(위안), 50元, 10元, 5元, 1元, 5角(쟈오), 2角, 1角, 5分(펀), 2分, 1分 등의 12가지이며, 이중에서 동전은 1元, 5角, 1角, 5分, 2分, 1分 등이다. 1元, 1角, 5角 등은 지폐와 동전이 혼용되고 있다. 참고로 중국은 외환태환권(외국인용)과 인민폐(중국 국민용)를 함께 사용하던 것을 1994년 6월 가트(Gatt) 가입 이후 단일화시켰다. 따라서 현재는 인민폐만 통용되고 있으며 그 이전의 태환권은 사용이 금지되었다.
환 전 1994년 4월 이전까지는 우리 나라에서 중국의 인민폐를 직접 교환할 수 없었는데 이후부터는 우리 나라의 외환은행 본점에서도 인민폐와의 직접 교환이 가능해졌다. 여권만 가지고 가면 영업시간에는 언제나 교환이 가능하다. 중국 현지에서는 우리 나라 화폐와 인민폐의 환전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출국하기 전에 우리 나라 화폐를 인민폐나 달러, T/C로 미리 바꾸어 간다. 중국 내에서의 환전은 공항에 있는 중국은행 출장소나 중국은행 각 지점에서 가능하다. 중국은행의 영업시간은 09:30부터 12:00까지, 14:00부터 16:00까지이다. 토요일은 쉬는 경우가 많고, 일요일·경축일은 휴무다. 호텔이나 대도시의 외국인 상대 쇼핑센터나 우의상점 등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다. 중국 국내에서는 교환원이 지폐를 살펴보고 나서 흠집이 있거나 낙서가 되어있으면 환전이 불가능할 때가 있다. 그러므로 되도록 달러나 T/C는 지갑에 깨끗이 보관하고 작은 낙서라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사용언어 : 중국어, 8종류의 방언
7. 전화
국내전화 베이징 같은 대도시에서는 동전이나 카드를 사용하는 공중전화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지만, 지방도시나 변두리에서는 전화를 건 뒤에 관리인에게 요금을 지불하는 식의 공중전화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런 공중전화도 거리에서 쉽게 찾기는 힘들기 때문에 호텔이나 대형 음식점에서 통화하는 것이 좋다. 시내통화는 호텔의 객실에서 걸 경우 외선번호를 누른 뒤에 상대방전화번호를 누르면 통화할 수 있다. 호텔에 따라서는 무료인 곳도 있고 1元의 요금을 받는 곳도 있다. 장거리전화국에서는 창구에 1角을 내고 신청서를 작성한 뒤 전화 사용 보증금(押金:야진)을 내고 통화한다. 통화가 끝나면 보증금에서 전화 사용료를 제하고 거스름돈을 내준다.
국제전화 대도시의 고급 호텔 객실에서는 외선번호를 돌리면 직접 국제전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지방도시나 초대소, 규모가 작은 호텔 등에서는 직접 거는 것은 어렵고 프런트에 신청하거나 장거리전화국에 가야만 국제통화가 가능하다. 요금은 1분에 18.15元 정도이다.
[한국교환원을 통한 국제전화] 공중전화일 경우에는 카드나 시내공중전화사용료 2角을 넣고, 호텔이라면 외선 번호를 누르고 108-828을 누른다. 안내방송을 들은 후에 0번을 누르면 한국교환원이 받으므로 상대방 전화번호를 알리면 된다. 통화할 상대방을 지정하는 지명통화와 상대방의 전화번호만을 지정하는 번호통화가 있으며, 연결되어 통화가 되는 시점부터 요금이 부과된다. 현금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으며 요금은 한국으로 돌아와서 지불하면 된다. [중국통신사를 이용한 국제전화] 00(국제전화인식번호)-한국의 국가번호(82)-0을 제외한 지역번호-걸고자 하는 곳의 전화번호 순으로 누르면 된다. 서울의 ☎123-4567로 건다면 00-82-2-123-4567을 누르면 된다. 단, 호텔에서 건다면 호텔의 외선번호를 먼저 누른 뒤에 이 번호를 누른다. 호텔 전화의 경우 기본 전화 요금 외에 호텔의 서비스 요금이 10~15% 정도 추가된다.
8. 여행시 주의사항
공안천국(公安天國)이어서 여자 혼자 여행해도 안전하다는 중국의 치안은 이젠 옛말이다. 우리 나라의 치안에 대해서도 말들이 많지만 우선 중국에서 택시를 타보면 중국 치안을 실감할 수 있다. 택시강도로부터 운전기사를 보호하기 위해 운전석과 승객석 사이에 유리벽과 간이 창살이 설치되어 있을 정도이다. 특히 오지나 산간지대 등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는 여러 가지 범죄가 안하무인격으로 일어나는 추세이다. 중국 정부는 거의 손을 쓰지 못하고 있을 정도에 이른다. 또 우리 나라의 6·70년대 사회현상 중의 하나였던 맹류현상(盲流現狀)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이런 사람들로 형성된 상대적인 빈곤을 느끼는 층에 의한 범죄 발생률이 늘어가고 있다. 여행하는 동안은 도난 당해서는 안 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해 두고 그 관리에 신경을 쓴다. 도둑을 맞으면 곤란한 여권·현금·항공권 등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보다 안전한 호텔 보관함에 맡긴다. 관광명소나 시내버스 안, 쇼핑가 등의 복잡한 곳은 소매치기와 도둑을 경계해야 한다. 관광객 티를 내거나 보석이나 유명 브랜드상품을 착용해 도둑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다. 짐은 작게 하나로 정리해서 들고 다니고 가방과 물건 등은 되도록 손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여행 중 귀중품은 특별히 필요한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되도록 가져가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다른 어느 나라보다 중국에서는 잃어버린 귀중품에 대해서는 대부분 다시 찾기 어렵다.
9. 전압
통상적으로 일반 전기기구는 220V 전용이다. 우리 나라의 220V 전용이나 겸용 전기기구는 사용할 수 있지만 110V전용은 사용할 수가 없다. 220V 전용이라도 곳에 따라서는 콘센트 잭의 모양이 달라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중국에서 우리 나라 전기제품을 쓰려면 220V 전용 제품과 콘센트에 연결할 수 있는 잭을 꽂아야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