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p of China
Note: This is not a complete map of China's territory. |
Administrative Divisions
Municipality: A city which is under direct administr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
Autonomous Region: An administrative region where the minority is the majority in the local government and congress. |
S.A.R.: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which pursues the policy of one Country Two System". |
1. 省급 : 22개성省 5개自治區 4개直轄市 2개特別自治區 (중국은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간주) |
<省 > |
- 화북구 : 하북성(河北省), 산서성(山西省) - 서북구 : 섬서성(陜西省), 감숙성(甘肅省), 청해성(靑海省) - 동북구 : 요녕성(遼寧省), 길림성(吉林省), 흑룡강성(黑龍江省) - 화동구 : 강소(江蘇省)성, 절강성(浙江省), 안휘성(安徽省), 강서성(江西省), 복건성(福建省), 산동성(山東省) - 중남구 : 하남성(河南省), 호북성(湖北省), 호남성(湖南省), 광동성(廣東省), 해남성(海南省) - 서남구 : 사천성(四川省), 운남성(雲南省), 귀주성(貴州省) |
<自治區> |
內蒙古自治區, 寧夏回族自治區, 新疆維五爾自治區, 西藏自治區, 藏西壯族自治區 |
<直轄市> |
北京市, 上海市, 天津市, 重慶市 |
<特別自治區> |
홍콩, 마카오 |
2. 州 級(총 337개) : 113地區, 30자치구, 8맹(내몽고) 185시 |
3. 縣 級(총 2181개) : 260시, 1748현, 114자치현, 51旗, 3自治旗, 3특구, 1공업구, 1林區 |
4. 市轄區(총 650개) : 35직할시 시할구, 615성(자치구), 할시시할구 |
5. 鄕, 鎭 : 향은 농촌의 말단단위이며, 진은 도시의 말단단위 |
|
중국의 행정구역
중국의 省 총23개(臺灣省포함) 중국의 자치구(5개) 중국의 직할시(4개)
|
省23개-臺灣省포함 |
浙江省 |
zhe4 jiang1 |
절강성 |
山西省 |
shan1 xi1 |
산서성 |
安徽省 |
an1 hui1 |
안휘성 |
靑海省 |
qing1hai3 |
청해성 |
福建省 |
fu2 jian4 |
복건성 |
江西省 |
jiang1 xi1 |
강서성 |
四川省 |
si4 chuan1 |
사천성 |
河北省 |
he2bei3 |
하북성 |
河南省 |
he2 nan2 |
하남성 |
陝西省 |
shan3xi1 |
섬서성 |
湖北省 |
hu2bei3 |
호북성 |
山東省 |
shan1dong1 |
산동성 |
湖南省 |
hu2nan2 |
호남성 |
海南省 |
hai3nan2 |
해남성 |
廣東省 |
guang3 dong1 |
광동성 |
甘肅省 |
gan1su4 |
감숙성 |
貴州省 |
gui4 zhou1 |
귀주성 |
黑龍江省 |
hei1long2 jiang1 |
흑룡강성 |
雲南省 |
yun2 nan2 |
운남성 |
吉林省 |
ji2lin2 |
길림성 |
台灣 |
tai2wan1 |
대만성 |
江蘇省 |
jiang1su1 |
강소성 |
遼寧省 |
liao2ning2 |
요녕성 |
|
|
|
자치구(5개)
|
?夏回族自治區 |
ning2xia4 hui2 zu2 zi4 zhi4 qu1 |
영하회족자치구 |
新疆維吾爾自治區 |
xin1jiang1 wei2 wu2 er3 |
신강위구르 |
內蒙古自治區 |
nei4meng2 gu3 |
내몽고자치구 |
廣西壯族自治區 |
guang3xi1 zhuang4 zu2 |
광서장족자치구 |
西藏自治區 |
xi1zang4 |
서장자치구 |
|
|
|
직할시(4개)
|
上海市 |
shang4hai3 |
상해 |
天津市 |
tian1jin1 |
천진 |
北京市 |
bei3jing1 |
북경 |
重慶市 |
chong2qing4 |
중경 |
기타 유명도시
|
廣州市 |
guang3zhou1 |
광주 |
香港 |
xiang1gang3
|
홍콩 |
중국은 크게 둥베이(東北), 화베이(華北), 화둥(華東), 화중(華中), 화난(華南), 시부(西部)의 6개이 지역으로 나뉜다. 각 지역의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는 다음과 같다.
-둥베이(東北) : 랴오닝성(遼寧省/Liaoning) 성도-선양(瀋陽/Shenyang) 지린성(吉林省/Jilin) 성도-창춘(長春/Changchun) 헤이룽장성(黑龍江省/Heilongjiang) 성도-하얼빈(哈爾濱/Harbin)
-화베이(華北) : 베이징시(北京市/Beijing) 톈진시(天津市/Tianjin) 허베이성(河北省/Hebei) 성도-스자좡(石家莊/Shijiazhuang) 산시성(山西省/Shanxi) 성도-타이위안(太原/Taiyuan)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Neimenggu) 구도-후허하오터(呼和浩特/Hohhot)
-화둥(華東) : 상하이시(上海市/Shanghai) 장쑤성(江蘇省/Jiangsu) 성도-난징(南京/Nanjing) 저장성(浙江省/Zhejiang) 성도-항저우(杭州/Hangzhou) 안후이성(安徽省/Anhui) 성도-허페이(合肥/Hefei) 산둥성(山東省/Shandong) 성도-지난(濟南/Jinan)
-화중(華中) : 허난성(河南省/Henan) 성도-정저우(鄭州/Zhengzhou) 후베이성(湖北省/Hubei) 성도-우한(武漢/Wuhan) 후난성(湖南省/Hunan) 성도-창사(長沙/Changsha) 장시성(江西省/Jiangxi) 성도-난창(南昌/Nanchang)
-화난(華南) : 광둥성(廣東省/Guangdong) 성도-광저우(廣州/Guangzhou) 푸젠성(福建省/Fujian) 성도-푸저우(福州/Fuzhou) 하이난성(海南省/Hainan) 성도-하이커우(海口/Haikou) 구이저우성(貴州省/Guizhou) 성도-구이양(貴陽) 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Guangxi) 구도-난닝(南寧/Nanning) 홍콩(샹강)특별행정구(香港特別行政區/Hong Kong(Xianggang)) 마카오(아오먼)특별행정구(澳門特別行政區/Macau(Aomen)) <타이완성(臺灣省/Taiwan) 성도-타이베이(臺北/Taibei)>
-시부(西部) : 충칭시(重慶市/Chongqing) 산시성(陝西省/Shaanxi) 성도-시안(西安/Xian) 쓰촨성(四川省/Sichuan) 성도-청두(成都/Chengdu) 윈난성(雲南省/Yunnan) 성도-쿤밍(昆明/Kunming) 간쑤성(甘肅省/Gansu) 성도-란저우(蘭州/Lanzhou) 칭하이성(靑海省/Qinghai) 성도-시닝(西寧/Xining)]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Ningxia) 구도-인촨(銀川/Yinchuan)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Xinjiang) 구도-우루무치(烏魯木齊/Urumqi) 시짱(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Xizang(Tibet)) 구도-라싸(拉薩/Lasa)
*행정제도
중국은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를 두고 있다.
-직할시(直轄市) : 구(區)와 현(縣)/구 아래에 진(鎭)/현 아래에 향(鄕)
-성(省) : 지급시(地級市)/지급시 아래에 구(區), 민족구(民族區), 현급시(縣級市), 현(縣)/구와 현급시 아래에 진(鎭)/현 아래에 향(鄕)과 민족향(民族鄕)
-자치구(自治區) : 성과 동일하나 네이멍구자치구에는 맹(盟)과 기(旗)라는 행정단위가 있는데 이것은 현(縣)과 동급이다. 신장자치구와 시짱자치구는 지급시(地級市) 외에 지급시와 동급인 지구(地區)로 나뉜다.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 구(區)로 이루어져 있다.
※성(省)아래에는 행정단위구(行政單位區)와 자치주(自治州)라는 행정구역도 있는데 이것은 지급시(地級市)와 동급이다.
*주요도시
-베이징(北京/Beijing) : 중국의 수도이며, 중국의 정치, 문화의 중심도시이다.
-상하이(上海/Shanghai) : 중국의 최대의 항구도시이자, 경제 중심도시이다.
-충칭(重慶/Chongqing) : 중국 서부의 최대 도시이며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
-톈진(天津/Tianjin) : 베이징의 외항(外港)으로 각종 공업이 발달하였다.
-선양(瀋陽/Shenyang) : 중국 둥베이 지방 최대의 도시이며, 최대의 중공업 도시이다.
-광저우(廣州/Guangzhou) : 중국 화난 지방의 중심도시
-선전(深?/Shenzhen) : 홍콩과 인접한 도시로 중국 제일의 부자도시이다.
-난징(南京/Nanjing) : 양쯔강(揚子江) 하류의 위치한 공업 도시
-우한(武漢/Wuhan) : 화중 지방의 중심도시이며, 선양 다음가는 대도시이다.
-칭다오(靑島/Qingdao) : 산둥성 제일로 도시로, 특히 한국기업의 투자가 많다.
-시안(西安/Xian) : 여러 왕조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중국 서북지방의 중심도시이다.
-청두(成都/Chengdu) : 쓰촨성의 성도이며, 외국자본을 끌어들여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라싸(拉薩/Lasa) : 티베트의 수도로, 포탈라궁 등의 관광명소가 있다.
-다롄(大連/Dalian) : 둥베이 지방에서 가장 빠른 발전을 보이며, 북방의 홍콩이라고 불린다.
-구이린(桂林/Guilin) : 여러 관광 명소가 있는 관광 도시이다.
-항저우(杭州/Hangzhou) : 저장성의 성도로 서호(西湖)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단둥(丹東/Dandong) : 압록강을 끼고 북한과 마주보는 공업 도시
-황산(黃山/Huangshan) : 중국 최고의 명산 황산과 인접한 도시
-하얼빈(哈爾濱/Harbin) : 중국 북방 최대의 경공업 도시
-안산(鞍山/Anshan) : 중국 최대의 철강공업 도시
-닝보(寧波/Ningbo) : 외국자본의 유치가 늘어 국제도시로 발전하는 도시
-쑤저우(蘇州/Suzhou) : 관광 명소가 많은 관광 도시이자 경공업 도시이다.
-창춘(長春/Changchun) : 중국 북방 유수의 공업 도시로 자동차 공업이 발달하였다.
-웨이하이(威海/Weihai) : 산둥성 유수의 공업도시로, 중국 해군 기지가 있다.
-샤먼(廈門/Xiamen) : 대만 자본이 집중적으로 유치되어 국제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란저우(蘭州/Lanzhou) : 실크로드의 입구였으며, 화학 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홍콩(샹강)(香港/Hong Kong(Xianggang)) : 아시아 금융의 중심지로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마카오(아오먼)(澳門/Macau(Aomen)) : 카지로 유명한 국제적인 향락도시이다.
-타이베이(타이페이)(臺北/Taibei(Taipei)) : 대만의 수도로 각종 산업이 발전한 국제도시이다.
중국은 크게 둥베이(東北), 화베이(華北), 화둥(華東), 화중(華中), 화난(華南), 시부(西部)의 6개이 지역으로 나뉜다. 각 지역의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는 다음과 같다.
-둥베이(東北) : 랴오닝성(遼寧省/Liaoning) 성도-선양(瀋陽/Shenyang) 지린성(吉林省/Jilin) 성도-창춘(長春/Changchun) 헤이룽장성(黑龍江省/Heilongjiang) 성도-하얼빈(哈爾濱/Harbin)
-화베이(華北) : 베이징시(北京市/Beijing) 톈진시(天津市/Tianjin) 허베이성(河北省/Hebei) 성도-스자좡(石家莊/Shijiazhuang) 산시성(山西省/Shanxi) 성도-타이위안(太原/Taiyuan)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Neimenggu) 구도-후허하오터(呼和浩特/Hohhot)
-화둥(華東) : 상하이시(上海市/Shanghai) 장쑤성(江蘇省/Jiangsu) 성도-난징(南京/Nanjing) 저장성(浙江省/Zhejiang) 성도-항저우(杭州/Hangzhou) 안후이성(安徽省/Anhui) 성도-허페이(合肥/Hefei) 산둥성(山東省/Shandong) 성도-지난(濟南/Jinan)
-화중(華中) : 허난성(河南省/Henan) 성도-정저우(鄭州/Zhengzhou) 후베이성(湖北省/Hubei) 성도-우한(武漢/Wuhan) 후난성(湖南省/Hunan) 성도-창사(長沙/Changsha) 장시성(江西省/Jiangxi) 성도-난창(南昌/Nanchang)
-화난(華南) : 광둥성(廣東省/Guangdong) 성도-광저우(廣州/Guangzhou) 푸젠성(福建省/Fujian) 성도-푸저우(福州/Fuzhou) 하이난성(海南省/Hainan) 성도-하이커우(海口/Haikou) 구이저우성(貴州省/Guizhou) 성도-구이양(貴陽) 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Guangxi) 구도-난닝(南寧/Nanning) 홍콩(샹강)특별행정구(香港特別行政區/Hong Kong(Xianggang)) 마카오(아오먼)특별행정구(澳門特別行政區/Macau(Aomen)) <타이완성(臺灣省/Taiwan) 성도-타이베이(臺北/Taibei)>
-시부(西部) : 충칭시(重慶市/Chongqing) 산시성(陝西省/Shaanxi) 성도-시안(西安/Xian) 쓰촨성(四川省/Sichuan) 성도-청두(成都/Chengdu) 윈난성(雲南省/Yunnan) 성도-쿤밍(昆明/Kunming) 간쑤성(甘肅省/Gansu) 성도-란저우(蘭州/Lanzhou) 칭하이성(靑海省/Qinghai) 성도-시닝(西寧/Xining)]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Ningxia) 구도-인촨(銀川/Yinchuan)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Xinjiang) 구도-우루무치(烏魯木齊/Urumqi) 시짱(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Xizang(Tibet)) 구도-라싸(拉薩/Lasa)
*행정제도
중국은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를 두고 있다.
-직할시(直轄市) : 구(區)와 현(縣)/구 아래에 진(鎭)/현 아래에 향(鄕)
-성(省) : 지급시(地級市)/지급시 아래에 구(區), 민족구(民族區), 현급시(縣級市), 현(縣)/구와 현급시 아래에 진(鎭)/현 아래에 향(鄕)과 민족향(民族鄕)
-자치구(自治區) : 성과 동일하나 네이멍구자치구에는 맹(盟)과 기(旗)라는 행정단위가 있는데 이것은 현(縣)과 동급이다. 신장자치구와 시짱자치구는 지급시(地級市) 외에 지급시와 동급인 지구(地區)로 나뉜다.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 구(區)로 이루어져 있다.
※성(省)아래에는 행정단위구(行政單位區)와 자치주(自治州)라는 행정구역도 있는데 이것은 지급시(地級市)와 동급이다.
*주요도시
-베이징(北京/Beijing) : 중국의 수도이며, 중국의 정치, 문화의 중심도시이다.
-상하이(上海/Shanghai) : 중국의 최대의 항구도시이자, 경제 중심도시이다.
-충칭(重慶/Chongqing) : 중국 서부의 최대 도시이며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
-톈진(天津/Tianjin) : 베이징의 외항(外港)으로 각종 공업이 발달하였다.
-선양(瀋陽/Shenyang) : 중국 둥베이 지방 최대의 도시이며, 최대의 중공업 도시이다.
-광저우(廣州/Guangzhou) : 중국 화난 지방의 중심도시
-선전(深?/Shenzhen) : 홍콩과 인접한 도시로 중국 제일의 부자도시이다.
-난징(南京/Nanjing) : 양쯔강(揚子江) 하류의 위치한 공업 도시
-우한(武漢/Wuhan) : 화중 지방의 중심도시이며, 선양 다음가는 대도시이다.
-칭다오(靑島/Qingdao) : 산둥성 제일로 도시로, 특히 한국기업의 투자가 많다.
-시안(西安/Xian) : 여러 왕조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중국 서북지방의 중심도시이다.
-청두(成都/Chengdu) : 쓰촨성의 성도이며, 외국자본을 끌어들여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라싸(拉薩/Lasa) : 티베트의 수도로, 포탈라궁 등의 관광명소가 있다.
-다롄(大連/Dalian) : 둥베이 지방에서 가장 빠른 발전을 보이며, 북방의 홍콩이라고 불린다.
-구이린(桂林/Guilin) : 여러 관광 명소가 있는 관광 도시이다.
-항저우(杭州/Hangzhou) : 저장성의 성도로 서호(西湖)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단둥(丹東/Dandong) : 압록강을 끼고 북한과 마주보는 공업 도시
-황산(黃山/Huangshan) : 중국 최고의 명산 황산과 인접한 도시
-하얼빈(哈爾濱/Harbin) : 중국 북방 최대의 경공업 도시
-안산(鞍山/Anshan) : 중국 최대의 철강공업 도시
-닝보(寧波/Ningbo) : 외국자본의 유치가 늘어 국제도시로 발전하는 도시
-쑤저우(蘇州/Suzhou) : 관광 명소가 많은 관광 도시이자 경공업 도시이다.
-창춘(長春/Changchun) : 중국 북방 유수의 공업 도시로 자동차 공업이 발달하였다.
-웨이하이(威海/Weihai) : 산둥성 유수의 공업도시로, 중국 해군 기지가 있다.
-샤먼(廈門/Xiamen) : 대만 자본이 집중적으로 유치되어 국제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란저우(蘭州/Lanzhou) : 실크로드의 입구였으며, 화학 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홍콩(샹강)(香港/Hong Kong(Xianggang)) : 아시아 금융의 중심지로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마카오(아오먼)(澳門/Macau(Aomen)) : 카지로 유명한 국제적인 향락도시이다.
-타이베이(타이페이)(臺北/Taibei(Taipei)) : 대만의 수도로 각종 산업이 발전한 국제도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