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중국 무역,투자

일일중국경제정보(2010.04.21)

박영복(지호) 2010. 4. 22. 06:29

4.21(수) 중국 언론에 보도된 주요 경제정보를 아래와 같이 보고함.




1. 중국 2015년 사치품 소비 세계 1위 차지할 전망


 ㅇ 최근에 발표된 베인앤컴퍼니(Bain&Co.)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사치품시장이 12%이상 증가하여, 96억 달러에 달했다고 함. 이는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의 27.5%를 차지하는 수치임. 2015년에는 중국 사치품 시장은 146억 달러에 달해 세계 1위를 차지할 전망임.


   - 미국 보스턴컨설팅그룹(BCG)도 중국 사치품시장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며, 지난 3.27일 상해에서 열린 ‘제2회 최고 명품 고급포럼’에서 BCG社가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즈음, 중국 사치품 소비액은 2,480억 위안(365억 달러상당)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 금융 위기 후, 전 세계적으로 사치품 브랜드의 자산 축소와 함께 오래된 명품브랜드들도 인원을 감축하는 가운데, 중국 사치품 소비는 홀로 독주하는 기현상을 나타내고 있음. 하지만 이에 대해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 내수를 확대해야 하는 가운데, 먼저 부자가 된 중국인들의 소비력을 중국내가 아닌 해외로 유출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호소하고 있음(4.20 중국경제주간)




2. 바오강(寶鋼)그룹 쉬러쟝(徐樂江)회장: 2014년 前에 철광석 수요 감소될 듯


 ㅇ 호주 리오틴토(Rio Tinto), 빌리톤(BHP Billiton), 브라질 발레(Vale do Rio Doce)3대 철광석업체들은 중국 철강기업에 대해 ‘너무 무리한 가격’을 제시하고 있음. 이는 최근 중국의 철광석에 대한 대외의존도가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와 관련이 있음. 2009년도 중국 철광석 대외의존도는 63.9%에 달함.


   - 중국측 철광석 협상 대표중 일원이면서 바오강그룹 회장인 쉬러쟝은 안전한 자원획득차원에서, 중국은 다원화되고 안정적인 자원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단기간에 (철광석)공급상들의 독점상황을 막을 수는 없지만, 현재 조금씩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고 함


   - 쉬러쟝은 중국 철광석 수입원은 이미 40여개 국가(예를 들어, 호주와 브라질 등 전통적인 국가 외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몽고, 베트남, 카자흐스탄, 동티모르, 페루, 아르헨티나 등)로 확대되고 있다고 함. 또한, 매년 수입되는 철광석 중 8천만톤은 지분소유광산*에서 조달되며, 중국 철강기업들이 합작한 해외철광자원(건설프로젝트 포함)은 연 1.9억톤에 해당해, 철광석 수입처의 다원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함


     * 중국 지분소유광산(權益礦)은 대부분 호주에 위치하며, 1억톤이상의 철광석자원 잠재력이 있음. 이러한 지분소유광산자원은 주식구매, 자산구매 및 합자, 합작 등을 통해 갖게 됨.


   - 2000년 이래 중국의 철강업은 고속성장을 하여, 철광석 수입은 2000년도 0.7억톤에서 2009년에는 6.3억톤에 달함. 하지만 업계인사에 따르면, 향후 철광석 수요는 고속 증가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전 세계 철광석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임


   - 세계적인 해운중개회사인 SSY는 2014년이면 철광석 수요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하였고, 바오강 그룹이 제공한 자료를 통해서도 철광석 수요 감소를 예상할 수 있음. 향후 중국의 철광석, 코크스 등 철강재료 수요는 점차 줄어들 전망이며, 바오강그룹의 철광석 협상에서도 유리한 지위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됨(4.30 중국경제주간)




3. 바오강(寶鋼) 5월 철강가격 상승폭 시장기대치보다 낮아


 ㅇ 바오강 5월 생산품 가격이 모습을 드러냈음. 4.20(화) 바오강의 주요 생산품인 열연강판의 가격 변동은 없고, 단지 냉연강판은 톤당 200위안이 상승하였고, 중후판은 톤당 500위안, 규소강판은 톤당 600위안이 상승하였음


   - 철강가격의 풍향계 역할을 하는 중국내 3대 철강기업들은 이미 5월분 가격을 발표하였고,강(武), 안강(鞍)등 철강 기업들과 비교해 바오강의 이번 가격 조절 폭은 그다지 크지 않아 시장 기대치보다 낮은 편임


   - 중국 철강 시장가격이 최근 2달간 상승함에 따라, 3대 철강기업들은 올해에 4차례 가격을 상향조정하였음. 올해 들어 바오강의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의 가격은 톤당 1,000위안이상 상승하였고, 규소강판은 톤당 1,650위안 상승하였었음.


   - 업계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바오강의 철강가격 소폭인상은 일부 주문량이 前기간에 비해 적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바오강의 향후 철강시장에 대한 신중한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음. 또한, 자동차시장이 비수기에 접어들어, 자동차용 강판주문량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임(4.21 경제참고보)




4. 중국 수출신용보험, 중국기업이 수출 확대하는데 든든한 방패역할


 ㅇ 중국 수출신용보험공사(中國出口信用保险公司) 부사장인 뤼용신(劉永信)은 난창(南昌)에서 열린 금융환경고급포럼에서, 2009년 중국 수출신용보험의 무역수출에서 차지하는 담보규모 비중이 대폭 상승하여, 중국기업들이 수출을 확대하는데 든든한 방패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힘.


   - 통계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수출신용보험의 담보규모는 수출액의 18.6%를 차지해, 작년대비 12.1% 상승하였음. 수출신용보험은 중국기업에게 직접 무역 대출액 1,600억 위안을 제공하였음


   - 수출신용보험은 중국 수출기업들의 주문량에 대한 자신감을 증가시켜주어, 작년 중국신용보험 30일 만기 단기대출은 145%, 90일 만기 대출은 183%증가하였음.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중동, 동유럽 등 신흥시장 수출은 492억달러로 114% 증가하였음(4.20 신화망)


      * 중국수출신용보험공사는 2001.12.18 국무원비준을 받아 설립되었고, 중국에서 유일하게 정책성 수출신용보험업무를 하는 국유독자보험공사임




 5. 중국 수출 200대 기업중 외자기업 80%에 달해


 ㅇ <중국해관> 잡지에 발표된 ‘2009년 중국 수출 200대 기업’에 따르면, 2009년 수출 200대 기업중 외자기업은 작년보다 12개가 증가한 153개가 포함되었고, 이들 기업의 수출총액은 2,507.4억 달러로 77.8%를 차지함.


   - 이러한 통계수치는 중국수출에서 외자기업이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며, 200대 수출기업중 상당수가 가공무역수출형태를 띄고 있어 중국이 세계 생산기지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또한, 보고서는 200대 수출기업의 실제 수출액은 3,223억 달러로 작년대비 6.3% 감소하였고, 2009년도 중국수출총액의 26.8%를 차지한다고 밝힘(4.20 신화망)




6. 농촌경제 그린백서: 동부, 중부, 서부 농민 수입차 점차 축소되고 있음


 ㅇ 4.20(화), 중국사회과학원 농촌발전연구소, 국가통계국 농촌사회경제조사司, 사회과학문헌출판사는 공동으로 북경에서 2010년 농촌경제 그린백서 기자회견과 중국농촌경제추세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였음. 토론회 상 발표된 <농촌경제 그린백서: 중국농촌 경제추세 분석과 전망(2009~2010)>에는 중국의 동, 중, 서부 지역의 농촌주민 소득차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고 밝힘.


   - 그린 백서는, 동부지역 농민 1인당 순수입은 2001년 3,266.7위안에서 2009년 6,742.8위안으로 연간 9.5%증가하였고, 중부지역은 2001년 2,165.2위안에서 2009년 4,864.8위안으로 연간 10.6% 증가하였으며, 서부지역 2001년 1,662.2위안에서 2009년 3,685.6위안으로 연간 10.5% 증가하였다고 밝힘


   - 그린 백서는 동, 중, 서부 지역 농촌의 전면적인 소강(小康: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한 중산층 정도의 경제수준)상태 실현은 2003년도에는 각각 35.6%, 13.8%, 9.7%에서 2008년도에는 각각 67.6%, 44.5%, 21.3%까지 제고되었다고 밝힘. 2020년까지 동, 중부 지역은 전면적인 소강사회(小康社會) 건설 목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지만 서부지역은 비교적 어려울 것이라고 밝힘(4.20 신화망)




7. 식량가격 5%이상 상승, 식품가격상승으로 올해 인플레이션 부담가중


 ㅇ 중국사회과학원 농촌발전연구소와 국가통계국 농촌사회경제조사司가 공으로 발표한 2010년 농촌경제 그린백서는 2010년 식량생산가격 상승이 5%를 넘어설 것이며, 이에 따라 식품가격도 4%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함.


   - 그린 백서는, 1978~2009년간 100가지 식량 생산자물가(PPI)를 시간 순으로 분석한 시계열모형 분석을 통해, 2010년 식량 PPI는 5%를 넘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동일한 방법을 통해 임업 PPI는 1% 하락하고, 목축업 PPI는 2% 상승, 수산업 PPI는 3% 상승해, 종합적으로 2010년 농산품 PPI는 4%를 넘어설 것이라고 밝힘


   - 중국기업연합회 연구부 부주임인 후츠(胡遲)는 그린 백서의 식품가격상승폭에 대한 예측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으며, 하반기 돼지고기 가격의 급속한 상승, 올해 이상 기온으로 인한 농작물 영향, 국제 농산품가격의 중국내 영향 등을 고려한다면 식량가격은 전년대비 상승폭이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함


   - 또한, 후츠 부주임은 사회과학원의 예측에 따라 올해 식품가격이 4% 상승하게 되면, 식품가격이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 정도이기에, 대략 CPI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1.3%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힘(4.21 경제참고보)




8. 증시현황(4.21)




                  당일-전일(프로수)            당일마감/거래량


 ㅇ 상해 종합:    +53.75P(+1.80%)          3033.28P/1,163,085만주


    상해 A주:     +56.27P(+1.80%)          3179.91P/1,158,546만주


    상해 B주:     +5.75P(+2.25%)           261.61P/4,539만주


    선전 성분:    +227.84P(+1.97%)         11766.82P/908,961만주


    선전 A주:     +244.64P(+1.97%)         12634.43P/591,120만주


    선전 B주:     +129.92P(+2.98%)           4485.13P/11,042만주


    선전 종합:    +32.37P(+2.74%)           1211.65P/800,621만주/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