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성 발질환
겨울철에 당뇨병환자는 발의 건강을 관리하는 데 특별히 신경써야 한다. 날이 추우면 혈액이 잘 흐르지 않게 되고 발에 흐르는 혈액량이 적어져 ‘발병’할 위험이 커지기 띠문이다. 이 때문에 티눈이나 물집,무좀이 생기거나 상처가 나면 쉽게 회복되지 않고 발의 신경이 무뎌져 악화되곤 한다. 발질환은 망막질환 신장병과 함께 당뇨병의 3대 합병증으로 불린다. 그러나 을지병원 족부클리닉이 최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당뇨환자 가운데 75%가 발질환 검사를 한번도 받아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는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을 통해 혈당을 관리하면서 발의 변화도 잘 살펴봐야 한다.
◆증상과 치료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발에 피가 잘 안 통해서 생기는 형액순환장애와 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신경병성 장애, 각질 수초.발진 무좀 등의 피부과적 질환 등을 포함한다. 원인과 증상에 따라 당뇨성 신경병증,신경병성 관절증,족부궤양,감염증으로 나뉜다. 신경병증은 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이 시리거나 저리거나 화끈거린다. 왕모래를 밟고 다니는 것같거나 먼지가 많은 바닥을 맨발로 걸어다니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발바닥을 들여다보면 발까락이 검붉거나 푸르스룸한 색깔을 띠고 있다.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다.
◆예방 및 발관리 요령
당뇨환자들은 담당의사와 상의, 자신의 혈당관리 목표를 정하고 꾸준히 혈당을 측정해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당뇨환자는 발의 감각이 무뎌져 상처가 생겨도 아프지 않을 수 있다. 매일 밝은 곳에서 발을 주의 깊게 관찰, 상처나 무좀 티눈등이 생겼는지 점검한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무릅을 꿇고앉는 자세는 삼간다. 꽉끼는 신발이나 굽이 5㎝이상 되는 높은 신발을 신으면 발까락부위에 티눈이나 굳은살,궤양 등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발까락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앞코가 높고 깔창은 부드러우며 밑창이 둥근 신발이 좋다. 굳은 살,티눈이 있거나 평발,무지외반증 등으로 발이 변형된 사람,발에 궤양이 있었거나 발 감각이 무딘 당뇨환자들은 특수 제작된 당뇨신발을 신는 게 좋다.
◆당뇨병환자 발관리요령
◆흡연,발질환 ‘최대적’
흡연은 당뇨환자는 물론 일반인들의 겨울 발 건강을 해치는 최대요인의 하나다. 담배를 피우면 혈압이 오르고 맥박이 빨라지며 말초혈관이 수축한다. 이 때문에 흡연자들은 날씨가 추워지면 동상에 잘 걸리거나 팔다리 등에 저림증세가 일러나기 쉽다. 또 니코틴이 체내에 유입되면 혈소판의 헐액 응고작용이 활발해지며 혈액이 점점 끈끈해져 혈전이 잘 생긴다. 혈액 속에 일산화탄소가 늘어나 혈액의 산소 공급 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골초들은 특히 발까락을 노리는 저격수 ‘버거씨병’을 경계해야 한다. ‘폐쇄혈전 혈관염’으로 불리는 버거씨병은 다리의 작은 동맥에 혈전이 쌓이며 혈관이 막혀 발까락이나 발이 썩어 들어가는 질환이다. 장기간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가 푸르스름하게 변하면서 차가워진다. 발을 절단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버거스씨병은 20∼40세의 남성 흡연자들이 주로 걸린다. 전체 말초동맥질환 가운데 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담배만 끊어도 전체 환자의 절반정도는 증상히 호전된다는 게 전문의들의 설명이다.
도움말:이경태 을지의대 족부정형외과 교수
|
'마음의 휴식 > 임시보관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목욕은 한 첩의 보약 보다 좋다 ♥ (0) | 2009.03.10 |
---|---|
질병찾기 --건강정보 (0) | 2009.03.10 |
당뇨병과 신장 합병증 (0) | 2009.03.10 |
몸 아픈 날의 당뇨병 관리 (0) | 2009.03.10 |
超雷网友与我云南人对话 (0) | 2009.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