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중국 무역,투자

일일중국경제정보(2009.7.6)

박영복(지호) 2009. 7. 7. 13:03

7.6(월) 중국 언론에 보도된 주요 경제정보를 아래와 같이 보고함.




(주요기사)


1. 중앙기업의 해외합병 권장


 ㅇ 7.4  리룽룽(李荣融)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 주임은 세계싱크탱크회의 다국적회사섹션에서, 국자위는 중앙기업의 적극적인 해외합병을 권장한다고 밝힘.


   - 다국적회사는 경제글로벌화의 중요한 추진력인데, 중국은 다국적회사가 많지 않고 중국기업의 규모와 실력은 세계경제에서의 지위와 역할에 어울리지 않은바, 현재 세계 500대 기업 중 중국의 기업은 겨우 5%를 차지함


   - 해외합병은 중국 대기업의 쾌속성장의 필연적인 요구이며 해외진출은 기업발전의 중요한 루트로 되고 있음. 중국정부는 중앙기업이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업무를 확장하며 경제기술교류와 협력을 진행하여 해외합병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권장한다고 밝힘


   - 중국국유기업의 해외합병이 시장법칙에 어긋난다는 일부 해외의 비난과 관련하여, 리룽룽은 이는 무지로 인한 편견이고 핑계일 뿐이라고 일축하였음(7.6 상해증권보)




(국내산업․시장정보)


2. 원자재공업관리 강화의 19가지 의견 발표


 ㅇ 원자재공업의 전환발전방식을 촉진하고 국제금융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원자재공업관리 강화의 19가지 지도의견을 발표하였음.


   - 생산능력의 맹목적인 확장 및 생산과잉, 생산구조 분산, 에너지소모가 크고 환경오염이 심각한 것 등의 주요 현안을 제기함


   - 철강, 유색, 시멘트, 평면유리, 황금, 희토류 금속, 화학비료, 농약 등 관련 기업의 구조조정을 적극 추진하고. 산업집중도를 높여 대규모로 발전시키며, 비공유제경제의 발전을 지원한다고 함(7.3 신화망)




3. “탄소세”의 실질은 보호무역


 ㅇ 7.3 야오젠(姚坚) 상무부 대변인은, 최근 일부 선진국이 수출입제품에 “탄소세”를 도입하고 일부 국제기구가 “탄소세”를 국제무역규정에 적용할 것을 제기한 것과 관련, 이는 WTO의 기본 규정을 위반하는 것으로 환경보호의 명목으로 보호무역주의를 실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함.


   - 중국정부는 기후변화대응 문제에서 일관되게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태도를 취해왔으며, “탄소세”는 국제무역질서를 교란하고  무역전쟁을 유발할 뿐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를 절대적으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힘(7.3 신화망)




4. 중국무역투자촉진대표단 4차 유럽행


 ㅇ 7.4 후진타오의 유럽방문에 호응하여 가오후청(高虎城) 상무부 부부장이 인솔한 300명에 가까운 기업가가 중국무역투자촉진대표단이 네 번째로 유럽을 방문함.


   - 방문기간 중 대표단은 이태리, 스웨덴, 핀란드, 포루트갈 등 4개 국에서 양자경제협력포럼 및 기업가상담회를 개최하고 일련의 투자. 기술협력, 선진설비도입 및 상품, 서비스무역 등 계약을 체결할 예정임


   - 한편, 1-5월 중국과 EU간 무역액은 1292.6억달러로 중국 대외무역액의 16.9%를 차지하여 2008년의 16.6%보다 높음(7.5 인민일보)




5. 저쟝, 상하이, 베이징 신용대출자산 질 국내 순위 3위


 ㅇ 7.4 사회과학원이 발표한 “중국지역 금융생태환경평가(2008-2009)”, “2008년 338개 도시(지역)신용자산등급평가”, “2008년 중국 100대 대․중 도시 금융생태환경평가”, “2008년 각 성의 금융생태환경평가”등을 발표하였는바, 저쟝(浙江)성, 상하이, 베이징시의 신용등급이 앞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 그중 저쟝성은 0.919의 종합성적으로 유일하게 신용자산등급이 AAA인 성으로 평가되었고 각가 2위와 3위를 차지한 상하이와 베이징은 모두 AA이며, 헤이룽쟝(黑龍江)성, 하이난(海南)성, 허난(河南)성은 마지막 3순위로 평가됨


   - 338개 도시 중 원저우(溫州), 항저우(杭州), 수저우(蘇州), 샤오싱(紹興), 저우샨(舟山), 닝버(寧波), 타이저우(臺州), 리수이(麗水) 등 8개 도시의 신용자산등급은 AAA임


   - 항저우, 상하이, 선전 등 세 도시는 100개 대․중 도시 금융생태환경 평가에서 3위를 차지하고 카이펑(開封), 베이하이(北海), 치치하얼(齊齊哈爾)이 마지막 3위를 차지함


   - 성(省)별 금융생태환경평가 결과는 상하이, 저쟝, 베이징, 쟝수, 푸젠이 랭킹 5위로 신용자산불량률이 5%이하인 것으로 나타남(7.4 신화망)




6. 금융위기, 사치품소비에 대한 영향 없어


 ㅇ 최근 발표한 “2009 중국 사치품보고서”에 의하면,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구미와 일본은 사치품에 대한 수요가 하락했지만 중국의 사치품시장은 여전히 양호하여 금융위기의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나타남.


   - 동 보고서는, 루더 핀회사와 아시아지역 사치품시장조사연구회사인 신텐웡회사가 공동으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홍콩 및 화동, 화남, 화서, 화북 등 17개 주요 도시의 1,000명에 가까운 소비자를 대상으로 올 4월부터 2개월간 소비자신뢰, 구매력, 소비행위와 동기, 정보취득루트 등을 조사한 결과임


   - 조사결과, 절반 이상의 조사대상은 가격이 소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특히 90% 이상이 경제위기로 사치품소비 취향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함. 미래에 대해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홍콩의 소비자들이 보편적으로 낙관적이었지만 홍콩소비자들의 소비습관과 자신감은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내륙에 비해 더 신중해진 것으로 나타남 (7.6 경제참고보)




7. 자체기술로 3세대 핵발전소 건설 예정


 ㅇ 7.3 중국의 3세대 AP1000 자체기술공사인 산둥하이양(海陽)핵발전소 1기 원자로공사 하청계약이 베이징에서 체결되었음.


   - 하이양은 백만㎾ 핵발전시설을 6대 건설할 계획이며 첫 번째 발전시설은 125만㎾로 2014년에 생산에 투입될 계획임. 동 공사는 이미 2008년 7월에 착공되어 8월에 본 공사가 시작될 예정임


   - 참고로, 현재 건설된 핵발전시설은 이미 24개로 2540만㎾에 달함 (7.6 경제참고보)




(금융․증권)


8. 1.16조위엔 신용대출금 주식시장으로 흘러


 ㅇ 국내 실물경제는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았지만 올 상반기에 상하이종합지수는 누계로 60% 상승하여 6.30일에 3000포인트를 넘어 1992년 하반기 이후 반기기준 인상폭이 가장 큼.


   - 3,000포인트는 약세와 강세 분기점으로 향후 주식시장 발전방향의 논쟁점으로 되었음


   - 웨이쟈닝(魏加宁) 국무원연구센터 연구원은 중국의 자산가격은 이미 거품이 나타나 최근의 주식시장 강세는 신용대출자금이 규정을 위반하고 주식시장에 유입된 것과 관련되었다고 하면서 1.16조위엔의 신용대출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어 “금융거품을 형성하였다”고 지적함


   - 세궈중(谢国忠) 로제타스톤의 이사는 중국과 세계의 실물경제가 아직 호전되지 않았고 주식시장의 상승은 단기적인 요소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A주식시장은 재차 약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지적하였지만, 궁팡시웅(龚方雄) 모건스탠리 수석중국경제학자는 이와는 반대 관점으로 현재 주식시장은 강세의 시작이라고 주장함(7.6 중국경제주간)



 


(기타)


9. 증시현황(7.6)


 ㅇ 상해 종합:    +36.30P(+1.18%)     3,124.67P/1,832,373만주


    상해 A주:     +38.17P(+1.18%)      3,280.27P/1,821,301만주


    상해 B주:     +1.41P(+0.72%)       198.62P/11,072만주


    심천 성분:    +231.13P(+1.89%)    12,489.93P/994,437만주


    심천 A주:     +247.92P(+1.89%)    13,397.17P/844,149만주


    심천 B주:     +53.29P(+1.36%)     3,970.52P/12,155만주


    심천 종합:    +9.91P(+0.99%)      1010.59P/856,304만주 /끝/

'중국소식 > 중국 무역,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일중국경제정보(2009.7.8)  (0) 2009.07.09
일일중국경제정보(2009.7.7)  (0) 2009.07.09
중국일일정세(7.3)  (0) 2009.07.05
일일중국경제정보(2009.7.3)  (0) 2009.07.04
일일중국경제정보(2009.7.2)   (0) 2009.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