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삭의 제일 밑 부분을 보면 꽃봉오리가 더이상 없는것으로 보아 이삭의 크기가 다 큰 상태로 생각되어 이삭의 크기가 약 40센티 정도로 다 잘 숙성되면 약 200g 수확하여 건조하여 탈곡하면 약 80g정도의 수확이 가능한 정도로 생각됨.
이삭의 중간 중간에 열매가 건너띈것을 보면 화분수정이 잘 않되었다는 표시로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음.
한송이는 비교적 결실이 잘 되었으나 피마자 나무의 한나무당 한개의 이삭만 열린 상태이므로 한개의 이삭이 숙성한 다음에 가지치기를 하여 추가의 이삭이 열려 숙성되려면 기간이 필요하므로 지역의 기후와 관련되어 많은 수확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태
밭에 잡초가 많이 있어 양분이 잡초로 빼앗기고, 잡초가 많다는 이야기는 토양의 ph농도가 적합치 않아 토양의 양분이 식물의 뿌리에 충분히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표시로, 전간에 잡초제거를 완벽하게 하여야 피마자 식물에 도움이 됨.
위에 게시한 사진들의 품종과는 또 다른 품종의 피마자. 피마자 줄기의 색상이 파란색과 자주색, 줄기표면에 광택이 있는것과 광택이 없는것으로 크게 4가지로 분류할수 있음. 피마자의 이삭이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에 2개이상 4개정도로 나타나는것으로 보아 위의 청색줄기의 피마자 보다는 좀더 잘 키운 경우라고 생각됨.
피마자의 이삭은 크게 잘 열렸으나 그 이삭의 영양분을 공급하여 주어야할 피마자 잎의 수가 너무 적어 충분한 숙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이고 피마자 나무의 아래부분에서 가지치기를 하지 않아 위로 올라가면서 이삭이 열리고 추가로 가지가 분기되어 이삭이 맺히면 피마자 나무의 상부의 중량이 과다하게 되어 바람이 불거나 어던 약간의 충격으로 피마자 나무가 전도할 염려가 있음.
이삭의 아랫부분에 꽃이 피다가 수정을 못하고 그냥 사그라지는것으로 보이는바 이러한 경우는 피마자의 영양분이 충분치 못한경우, 개화기에 연속하여 비가 48시간 이상 와서 꽃의 수정이 않된 경우, 많지 않은 질병의 원인등이 있을수 있으므로 지역의 기후와 토양의 영양상태를 검토해 보아야 원인과 대처방안을 찾을 수 있음.
이삭의 아랫부분이 수정이 않되고 그냥 사그라졌음.
피마자 상태의 사진으로는 고성능의 비료를 주었다는 것에 대하여 별로 신빙성이 가지 않음. 고성능의 비료를 시비하였다면 피마자의 줄기가 굵던지, 키가 크기전에 꽃이 빨리피고 이삭이 빨리 열린다고 하면 거기에 맞게 잎이 커야 하는데 사진의 상태로는 잎의 크기가 다른 재배 단지에 비하여 특별히 크지않고, 피마자의 많은 부분이 왜소한 나무가 많이 있는것으로 보아 고성능의 비료를 시비 하였다면 그 비료의 양분을 피마자가 충분히 흡수 하지 못한경우라고 판단됨.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피마자 나무의 유묘기에 가지치기를 하여 4~5가지를 키우지 않고 한개의 기본 줄기만 키울경우 60여일이 지나면 이삭이 맺히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인바 특별히 이삭이 빨리 열렸다고 좋하하기는 좀 판단을 보류하여야 할듯.
잡초가 너무 많음. 잡초관리, 전간관리가 전혀 않된 상태
피마자 뿌리부분에 전혀 흙모아덮기가 않되어 있는 상태로 보아 추가 덧비료를 주지 않고 뿌리 보호를 전혀 않한 상태이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큰 비가 오면 배수가 잘 않되어 뿌리에 침수가 될 염려와 피마자의 뿌리가 깊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위부분의 무게 중심으로 피마자가 전도할 염려가 큼. 피마자는 한번 전도하면 회복되지 않음. 피마자 줄기는 속이 비어 있는 상태이므로 꺾이면 끝임. 따라서 피마자 잎이 5~6개 나왔을때 피마자 뿌리부분에 웃비료를 주면서 주변의 흙을 모아 뿌리부분을 덮어주므로서뿌리부분의 토양의 온도를 보호해주고 뿌리의 전도를 방지해주고, 주변 흙을 모음으로 잡초제거, 자연적으로 토양의 높낮이가 다르게 되므로 배수에 도움이 되므로 피마자 재배와 전간관리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조처임.
이삭의 아랫부분이 수정이 않되어 그냥 사그라짐. 상태로 보아서는 영양부족으로 생각됨
피마자 밭의 상태로 보아 파종할때 줄을 마추지 않아 불규칙한 상태로 자라고 있는바, 이러한 상태에서는 피마자의 중간나무에 관리하러 진입하면 주변의 나무에 피해를 주게되고 전간관리, 잡초관리등 여러가지 문제가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피마자의 파종시에는 정확히 줄간격과 거리간격을 맞추어 일정하게 파종하여 관리하여야 관리가 용이함
'대체에너지 사업 > 2012년 재배 모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봄에 파종하여 한창 결실기에 접어드는 모습 01 (0) | 2012.08.13 |
---|---|
재배 관리 모습 (0) | 2012.07.25 |
천진 재배단지 2012년 5월 17일 파종 63일 경과 (속성재배) 대만종자 아비#5호 (0) | 2012.07.20 |
2012년 봄에 파종하여 한창 성숙하는 모습 05 (0) | 2012.07.19 |
2012년 봄에 파종하여 한창 성숙하는 모습 04 (0) | 2012.07.19 |